achondroplastic dwarf - 연골무형성난쟁이증. 난쟁이의 가장 보편적인 타입이다. 어울리지 않게 짧은 손발과 정상 크기의 몸통, 낮은 코를 가진 큰 머리, 작은 얼굴, 굵고 짧은 손과 척주앞굽음증을 특징으로 한다. 뼈 형성 조직의 유전적 결손에 인한다. 보통 중추신경계와는 관계가 없어 지능은 정상이다. achromatic lens - 무색수차렌즈, 무색지움렌즈. 색수차를 없앤 렌즈. 렌즈를 통하여 물체의 상을 만들 때, 빛의 색에 따라 굴절률이 다르기 때문에 상이 생기는 위치와 배율이 달라지게 된다. 구) 색수차지움렌즈, 무색수차렌즈, 색지움렌즈, 무색수차대물렌즈 achromatic spindle - 무색방추사. 유사분열이나 무사 분열 과정에서 무색체 섬유로 구성되는 방추 모양의 구조. 중..
acetone - 아세톤. 독특한 냄새가 있는 무색투명한 휘발성 액체로, 물이나 유기 용매에 잘 녹으며 인화성이 있다. 인체에서는 산증이 있을 때 증가하여 혈액, 오줌에서 나타난다. 아세톤과 아세톤체가 속하는 군은 모든 것을 말한다. 구) 아세톤 acetylation - 아세틸화, 아세틸반응. 유기 화합물 속의 아니노기나 히드록시기에 결합하고 있는 수소 원자를 아세틸기로 치환하는 일 또는 그런 반응. 특히 산소 원자나 질소원자와 결합해 있는 수소는 아세틸화가 잘 된다. 구) 아세틸반응, 아세틸화반응 acetylcellulose - 아세틸셀룰로오스, 초산섬유소. 셀룰로오스 분자 속의 히드록시기를 아세틸화한 아세트산에스테르. 불연성 필름, 플라스틱, 전기 절연체 따위를 만드는데 쓴다. 구) 아세틸셀룰로오스,..
accessory thyroid - 덧갑상샘. 갑상샘의 본체가 보존되어 있는 상태에서 조직학적으로 정상인 갑상샘 조직이 갑상샘 주위의 어디에서나 나타나는 것. 구) 덧갑상샘, 부갑상선 accidental error - 우연오차. 자동화에서, 동일한 측정 대상을 똑같은 측정 수단과 방법으로 같은 측정자가 잰 경우에도 서로 다른 크기와 부호로 나타날 때의 오차. 구) 우연오차 accidental exposure - 사고피복, 사고노출. 원하지 않았는데도 사고나 재해에 의하여 방사선이나 기타 위험물에 노출되는 것. 구)사고피복 accidental host - 우연숙주. 어떤 특별한 종류에 있어 본래 기생성이 아닌 생물을 기생시키는 생물. 여기에 대하여 본래 기생성을 가지는 숙주를 자연숙주라고 한다. 구) 우연..
acarophobia - 진드기공포. 진드기 자체에 대한 비정상적 공포. 곤충, 벌레 등 작은 생물의 감염 혹은 그 때문에 생기는 가려움증에 대한 공포. 구) 진드기공포병, 진드기공포증 acatalasia - 카탈라아제결핍, 무카탈라아제증. 카탈라아제가 선척적으로 결핍되는 병. 스위스와 일본인에게 주로 나타난다. 무증상이나 잇몸과 그 주위의 입안 조직에 염증이 반복해서 일어나기도 한다. 구) 카탈라아제결핍증, 무카탈라제증 accelerated hyperfractionation - 가속과분할. 하루에 2회 이상 방사선을 조사하면서 일일 방사선을 증가시키는 방법. 구)가속과다분할조사 accelerated hypertension - 가속고혈압. 예후가 좋지 않은 고도의 중증고혈압으로, 안저에 삼출성 및 출혈성..
absorbed dose rate - 흡수선량률. 물질의 단위 질량 당 방사선의 에너지 양의 비율. 즉 전리방사선에 의해 조직에 부여된 평균 에너지에 대한 해당물질이 나타내는 비율. 구) 흡수선량률 absorption - 흡수. 피부, 창자, 요세관과 같은 조직 안으로 혹은 조직을 통하여 물질을 흡수하는 것. 또 물질이나 구조체 속에서 음파 등의 탄성파 또는 전자기파 등의 복사선의 에너지가 감쇠되는 일도 흡수라고 한다. 방사선의학에서는 방사선이 상호 작용하는 물질에 의해서 에너지를 흡수하는 것. 구) 흡수, 흡착 absorption fever - 흡수열. 조직 내의 출혈 또는 조직 파괴가 잇는 경우에 생기는 40도씨 이상의 발열. 신체 각 조직의 분해산물이 흡수되고 발열성 물질로서 발열을 일으키는 것으로..
abortion - 유산(임신 7개월(24주) 이전에 태아가 죽어서 나오는 현상. 29~30주 사이에 태아가 나오는 경우는 조산이라고 한다. 낙태(자연 분만기 전에 자궁에서 발육 중인 태아를 인공적으로 제거하는 일. 구) 유산, 낙태 abortive transduction - 부전형질도입. 주는 세균의 유전자 조각이 그 조각을 받는 세균의 유전체에 통합되지 않는 형질도입. 이때 주는 세균이 분열하게 되면 형질은 딸세포 중 하나에만 전달된다. 구) 불발형질도입 abortus fever - 유산열. 유산 시에 질 내 세균의 상행성 감염이나 소독이 불충분한 기구에 의한 고열을 동반하는 세균감염. 특히 비위생적인 환경에서 행하여지는 인공임신중절에 따른 것이 많은데, 증상은 임신 및 유산에 의한 증상과 내성기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