엉덩이의 형태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이 지역의 지방층인데 지방은 하부와 내부 지역에서 가장 두껍다. 엉덩이는 아주 판판하며 근육이 수축하는 경우가 아니면 축적된 지방의 성질에 따라 부드러운 기복을 보여준다. 젊은이의 탄탄한 엉덩이는 밀도 짙고 저항성이 있는 지방조직에 기인한다. 노인의 판판해진 엉덩이는 이 조직이 사라진 결과이다. 4. 구간 운동(movement of the trunk) 구간의 운동은 크게 굴곡운동, 확대운동과 회전운동으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여기서 굴곡운동은 가벼운 굴곡운동과 무리한 굴곡운동으로 세분할 수 있다. 1)굴곡운동 굴곡운동은 복직근, 내복사근과 외복사근의 복부 근육들에 의하여 야기된다. 전방에서 보면 가슴의 형태가 조금 변하며 배의 높이가 상당히 줄어든다. 배는 배..
등 지역에서 척주는 외부로 보여진 제7경추 이후에 제1, 2흉추 극상돌기의 돌출부를 따른다. 구는 위에서는 넓지만 아래로 내려가면서 좁아지고 깊어진다. 이 지역의 표면에는 승모근의 하부 말단과 활배근의 대부분이 보인다. 이 근육들은 편편하며 매우 두껍지 않은데 이들의 형태는 위로 능형근과 아래로 척주의 심층 근육들에 기인한다. 승모근의 표면이 이 지역의 상부를 점하는데 이 근육 하부의 삼각형 형태를 홀쭉한 사람에게서도 볼 수 있다. 이 근육은 제12흉추까지 내려간다. 그러나 이 근육의 외부완압은 이보다 이전에 끝난다. -견갑골 지역 견갑골 지역의 한계는 상부로는 목의 하부경계, 그리고 하부로는 활배근의 상부연이다. 이 지역은 중앙 부분의 강한 건막에 의해 나뉜 삼각근의 돌출면, 많이 돌출하지 않는 극하근..
목의 전방에 보이는 주름살은 확대운동의 경우보다 더 얇고 수효가 많다. 턱 각에 의하여 뒤로 밀려나는 흉쇄유돌근은 그 지역에서 부풀음을 보여주지만 이 근육의 하부말단은 사라진다. 목덜미는 둥글어지고 늘어난다. 제7경추의 배극융기는 강조되며 양측면에서 늘어난 승모근의 전방연을 보게 된다. 그리고 후방삼각형의 높이가 낮아진다. 회전운동에서 가장 노출되는 목의 측면을 보자면 얼굴이 향하고 있는 목의 반대편 목에서 흉쇄유돌근은 수직이 된다. 이 근육의 살 부분에 의해 생긴 완압은 방추형이고 이 형태는 흉골에서 돌출하는 건에 의해 이루어 지거나 쇄골로의 삽입 부분은 거의 사라진다. 흉쇄유돌근 앞에 있는 설골 함몰은 외부로 움푹 파이고 턱 각으로 가까이 움직인다. 후방삼각형은 사라지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얼굴이 ..
8. 관자놀이(temples of the head) 관자놀이는 이마를 측방으로 연장시킨다. 관자놀이는 골격상 측두골와에 상당하나 이 뼈의 함몰된 형태는 매우 홀쭉한 사람에게서나 보일 수 있다. 관자놀이는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이마와 머리 부분의 정점과 혼합한다. 그리고 관자놀이는 항상 함몰해 있지만 안와 외부연의 완압에 의해 눈과 분리되어 있다. 하부에서는 뺨과 경계 지워 있는데 관골궁 돌출부의 횡단완압에 의하여 경계 지워진다. 9. 뺨(cheek) 뺨은 코로부터 귓구멍으로, 눈과 관자놀이로부터 턱과 턱의 하방으로 뻗어 있다. 관골은 상악골과 결합한다. 이것들의 결합 선상에서 뺨의 가장 돌출한 부분은 안와의 약간 아래와 외부쪽에 위치해 있다. 이 지점의 전방에서 코의 측방표면과 결합하기 위하여 눈 아래에서..
-양안구가 외제쪽으로 접근할 때 이 자세는 한가롭고 온화한 느낌을 주며 여자나 소아에게서는 부드러움과 평화로운 느낌을 준다. -양안구가 좌측이나 우측을 향할 때 이 자세는 보통 곁눈질이라고 하는데 얼굴도 눈의 방향과 일치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이것이 강할 때는 음험함이 느껴지며, 상대방의 회피 등 상대방에게 강한 혐오감을 유발하는 데 사용한다. 이것이 약할 때는 추파 등 여성적인 정서가 내포되어 있으며 수동적인 효과를 가지고 있다. -양안구가 외상방을 향할 때 이 자세는 예를 들어 먼 곳의 소리를 듣거나 맛을 보거나 손끝의 촉각으로 어떤 사물의 내용을 판단하려고 할 때, 혹은 기억을 더듬을 때 등 시각을 필요로 하지 않고 촉각이나 청각에 의존하여 분별 탐지하려는 자세에서 보통 나타난다. 이 자세는 보통 ..
1. 얼굴(face) 1. 이마(forehead) 이마는 상부에서는 머리카락에 의하거나 아니면 머리카락이 없을 때에는 머리의 이식선에 의하여 경계된다. 측면에서는 관자놀이에 의하여, 하부에서는 비교와 눈썹에 의하여 경계 지워진다. 이마의 형태는 전두융기의 위치에서 둔각으로 결합되어 있는 두 평면으로 나뉘어 있다. 이마는 일반적으로 전두골의 형태를 거의 동일하게 재생해내지만 남녀의 형태가 다르다. 남자의 경우는 전체 면이 편편하지만 여자의 경우는 둥글다. 폭이 넓은 이마는 이성적으로 보이며, 이마를 상하로 길게 늘이고 높이면 숭고하게 보인다. 그러나 소아나 여성의 경우는 이마를 좁게 해도 아름답게 보이는 경우가 있다. 이마의 피부는 감정의 표현에서 큰 역할을 담당하는 주름살로 움푹해진다. 여기서 미모궁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