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관자놀이(temples of the head) 관자놀이는 이마를 측방으로 연장시킨다. 관자놀이는 골격상 측두골와에 상당하나 이 뼈의 함몰된 형태는 매우 홀쭉한 사람에게서나 보일 수 있다. 관자놀이는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이마와 머리 부분의 정점과 혼합한다. 그리고 관자놀이는 항상 함몰해 있지만 안와 외부연의 완압에 의해 눈과 분리되어 있다. 하부에서는 뺨과 경계 지워 있는데 관골궁 돌출부의 횡단완압에 의하여 경계 지워진다. 9. 뺨(cheek) 뺨은 코로부터 귓구멍으로, 눈과 관자놀이로부터 턱과 턱의 하방으로 뻗어 있다. 관골은 상악골과 결합한다. 이것들의 결합 선상에서 뺨의 가장 돌출한 부분은 안와의 약간 아래와 외부쪽에 위치해 있다. 이 지점의 전방에서 코의 측방표면과 결합하기 위하여 눈 아래에서..
-양안구가 외제쪽으로 접근할 때 이 자세는 한가롭고 온화한 느낌을 주며 여자나 소아에게서는 부드러움과 평화로운 느낌을 준다. -양안구가 좌측이나 우측을 향할 때 이 자세는 보통 곁눈질이라고 하는데 얼굴도 눈의 방향과 일치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이것이 강할 때는 음험함이 느껴지며, 상대방의 회피 등 상대방에게 강한 혐오감을 유발하는 데 사용한다. 이것이 약할 때는 추파 등 여성적인 정서가 내포되어 있으며 수동적인 효과를 가지고 있다. -양안구가 외상방을 향할 때 이 자세는 예를 들어 먼 곳의 소리를 듣거나 맛을 보거나 손끝의 촉각으로 어떤 사물의 내용을 판단하려고 할 때, 혹은 기억을 더듬을 때 등 시각을 필요로 하지 않고 촉각이나 청각에 의존하여 분별 탐지하려는 자세에서 보통 나타난다. 이 자세는 보통 ..
1. 얼굴(face) 1. 이마(forehead) 이마는 상부에서는 머리카락에 의하거나 아니면 머리카락이 없을 때에는 머리의 이식선에 의하여 경계된다. 측면에서는 관자놀이에 의하여, 하부에서는 비교와 눈썹에 의하여 경계 지워진다. 이마의 형태는 전두융기의 위치에서 둔각으로 결합되어 있는 두 평면으로 나뉘어 있다. 이마는 일반적으로 전두골의 형태를 거의 동일하게 재생해내지만 남녀의 형태가 다르다. 남자의 경우는 전체 면이 편편하지만 여자의 경우는 둥글다. 폭이 넓은 이마는 이성적으로 보이며, 이마를 상하로 길게 늘이고 높이면 숭고하게 보인다. 그러나 소아나 여성의 경우는 이마를 좁게 해도 아름답게 보이는 경우가 있다. 이마의 피부는 감정의 표현에서 큰 역할을 담당하는 주름살로 움푹해진다. 여기서 미모궁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