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슬와근(popliteus) 이 근육은 대퇴골 외측과에서 시작하여 경골체 상단 후면에 연결되는 삼각형의 편평한 근육이다. 이 근육은 슬관절의 고정과 무릎의 내측회전작용을 한다. 10)장지굴근(flexor digitorum longus) 이 근육은 슬와근선과 경골 내측 후면에서 시작하여 외측 제4지골 말절 저면에 연결되는 근육이다. 이 근육은 제2~5지골 말절의 굴곡작용을 한다. 11)장모지굴근(flexor hallucis longus) 이 근육은 비골 후면 2/3에서 시작하여 제1지골 말절 저면에 연결되는 근육이다. 이근육은 모지의 굴곡작용을 한다. 12)후경골근(tibialis posterior) 이 근육은 골간막 및 인접 골면에서 시작하여 주상골, 설상골, 중족골의 조면 속으로 삽입한다. 이 근육은..
11)반막양근(semimembranosus) 이 근육은 반건양근과 대퇴이두근의 상부와 측방의 좌골로부터 시작하여 건이 세 개의 섬유로 갈라지는 경골의 내측관절구의 후부 속으로 삽입한다. 이 강력한 근육은 반건양근을 수용하는 수직구를 가지고 있다. 이 근육 살 부분의 하부 말단은 슬와근 공간의 상부 위에 둥근 부풀음을 형성한다. 이 근육이 수축할 때 이 부풀음이 가장 뚜렷해진다. 이 근육은 골반 위에서 대퇴의 확대운동과 회전운동을 할 경우에 신전작용, 내전작용과 하퇴의 내전작용을 할 뿐이지 회전운동은 하지 않는다. 12)반건양근(semitendinosus) 이 근육은 대퇴이두근의 공통건에 의하여 좌골조면에서 시작하여 경골 내측 상단에 삽입하는 근육이다. 이 근육은 넓적다리 후방 지역의 근육들 중에서 가장 ..
1)대퇴사두근(quadratus femoris) 이 근육은 네 개의 근육, 즉 대퇴직근, 외측광근, 내측광근, 중간광근이 있다. 이 근육들은 아래에서 단일 근육으로 결합되어 있다. 대퇴직근은 하전장골극과 관골구연의 구로부터, 외측광근은 대전자 기저와 조선의 외순으로부터, 내측광근은 조선의 내순으로부터, 그리고 중간광근은 대퇴골 전방, 측방표면과 측방근간중격의 원심부로부터 시작한다. 슬개골의 기저, 두부연, 전방 표면으로부터 삽입하여 슬개골 건을 통하여 내려가서 경골의 전방조면 속으로 삽입한다. 형태상 방추형인 대퇴직근은 사두근 중에서 가장 표층부에 있다. 이 근육은 넓적다리의 전방표면에 중앙을 점하고 대퇴골의 경사방향을 따라간다. 이 근육의 위치는 수축작용시 피부상에 뚜렷한 완압을 보여준다. 대퇴직근의 ..
5)단장근(palmaris brevis) 이 근육은 외부상으로는 장측건막의 내부연에, 그리고 내부상에서는 손의 척골연에서 시작하여 장피의 심층에 부착된다. 이 근육이 수축할 때 피부 위에 아주 특징적인 주름으로 인한 세로함몰을 만든다. 6)소지외전근(abductor digiti minimi) 두상골과 굴근 지대에서 시작하여 소지 기절골저의 척측에 연결되는 근육으로서 소지의 외전작용을 한다. 7)단소지굴근(flexor digiti minimi brevis) 유구골에서 시작하여 제5지골 기절 내측까지 연결되는 근육으로서 소지 기절의 굴곡작용을 한다. 8)소지대립근(opponens digiti minimi) 유구골에서 시작하여 제5중수골 기절 내측까지 연결되는 근육으로서 제5자의 대립작용을 한다. 9)충양근(..
10)장요측수근신근(extensor carpi radialis longus) 이 근육은 완요골근 아래의 상완골 외측연과 외측상과에서 시작하여 제2중수골저의 배측에 삽입한다. 이 근육은 완요골근과 서로 얹혀 있는데 형태가 유사하지만 살부분이 완골근의 것보다 훨씬 더 짧다. 그리고 장요측수근신근은 단요측수근신근을 덮는다. 이 근육은 수근의 신전 및 외전작용을 한다. 11)단요측수근신근(extensor carpi radialis brevis) 상완골과 외측상과에서 시작하여 제3중수골저에 삽입하는 근육이다. 두꺼운 살부분은 완요골근과 장요측수근신근에 의해 전방 1/2 지정이 덮여 있다. 후방 표층부는 전완의 외부에서 뚜렷한 완압을 보여준다. 이 근육은 장요측수근신근의 건과 같이 손으로 내려가는 단 하나의 건을 ..
4)상완삼두근(triceps brachii) 견갑골 관절와 아래에 있는 견갑골의 외부연(장두), 요골신경이 지나가는 구위에 있는 상완골(중두), 그리고 상완골의 측부연과 후방연(측두)으로부터 시작하여 주두의 후방 상부 속으로 삽입한다. 이 근육의 세 두부섬유들의 배열은 매우 복잡하다. 장두와 측두의 살 섬유들은 상완의 상부에 있다. 즉 이 섬유들은 주두 속에 삽입되는 대형 건을 만든다. 중두의 살섬유는 측두의 살 섬유보다 훨씬 더 내려간다. 이 근육은 삼각근 아래에서 사라지는 상부를 제외하고는 피하조직인 상완의 전후방 지역을 점한다. 이 근육의 작용을 보면 팔이 쉬고 있을 때 장두는 상완골을 올리며, 견갑골 관절와에 대하여 상완골의 말단을 강하게 붙들고 있다. 그리고 전완의 신전작용을 한다. 3. 전완근..